건강검진 결과에서 UIBC 수치 이상 있으신 분들 있죠? 철(Fe) 결합과 관련 있는 UIBC(불포화철겹합능) 수치에 따른 증상 및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불포화철결합능 (UIBC) 의미와 수치, 발생 질병, 원인, 예방 대책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불포화철결합능(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UIBC)이란? 임상적 의의
불포화철결합능(UIBC)은 혈액 내 트랜스페린(transferrin)이 아직 철(Fe)과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트랜스페린은 혈장에서 철을 운반하는 단백질로, 체내에서 철의 대사와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UIBC는 총철결합능(TI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에서 혈청 철(serum iron) 수치를 뺀 값으로 계산되며, 이는 체내에서 추가로 결합할 수 있는 철의 양을 반영합니다.
트랜스페린은 혈액에서 철을 운반하는 단백질로, 총철결합능(TIBC, Total Iron-Binding Capacity)의 일부입니다.
TIBC = 혈청철(Serum Iron) + UIBC
즉, UIBC는 트랜스페린이 추가로 결합할 수 있는 철의 양을 의미합니다.
다음으로 불포화철겹합능(UIBC) 의 수치에 따른 발병 가능한 질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UIBC 수치와 관련된 질병
1) UIBC 높음 (450 µg/dL 이상, 트랜스페린이 많이 생성되었거나 철 부족 상태)
- 철결핍성 빈혈, 만성 출혈(위궤양, 월경 과다), 영양 결핍, 임신, 간질환
2) UIBC 낮음 (240 µg/dL 이하, 트랜스페린이 감소했거나 철 과다 상태)
- 용혈성 빈혈, 만성 질환 빈혈, 간경화·간염, 헤모크로마토시스(철 과다 축적 질환), 영양실조
3) 정상수치 240 ~ 450 µg/dL
(일부 검사 기관에서는 250~400 µg/dL로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 UIBC 수치는 단독으로 해석하기보다는 혈청철, TIBC, 트랜스페린 포화도와 함께 분석해야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이어서 UIBC 이상수치와 관련된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 불포화철결합능 이상과 관련된 증상
UIBC 수치의 변화는 철 대사의 문제를 반영할 수 있으며, 철 결핍 또는 과다와 관련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UIBC 수치 높으면 (철 결핍성 빈혈 관련 증상)
- 피로 및 쇠약감
- 창백한 피부
- 두통 및 어지러움
- 손톱이 잘 부러짐 (Koilonychia, 숟가락형 손톱)
- 집중력 저하
(2) UIBC 수치 낮으면 (철 과부하 또는 만성질환 관련 증상)
- 관절 통증
- 피로 및 권태감
- 복부 통증 (특히 간 손상과 관련됨)
- 피부 색소 침착 (혈색소증)
- 심부전, 당뇨병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
4. UIBC 이상수치의 원인
UIBC 수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UIBC 증가 원인 (UIBC > 375 µg/dL 철결핍 상태)
트랜스페린이 철을 더 많이 운반하려고 하면서 추가 결합 가능 공간이 증가한 상태
- 철 결핍성 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가장 흔한 원인으로 혈액 내 철분이 부족해 트랜스페린이 철을 더 운반하려 하면서 증가
- 만성 출혈 (Chronic blood loss)
위궤양, 위장 출혈, 월경 과다 등으로 철손실이 증가하면서 철 결핍 발생
- 임신 (Pregnancy)
태아에게 철분이 많이 공급되면서 철 결핍 경향이 생김
- 간 질환 (Liver disease, 특히 만성 간질환)
간에서 트랜스페린 합성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철과 결합하지 않은 상태 증가
- 영양부족
철분 섭취 또는 트랜스페린 합성에 필요한 단백질 부족
(2) UIBC 감소 원인 (UIBC < 150 µg/dL, 철 과다 상태)
트랜스페린이 이미 철과의 결합이 포화 상태라 추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
- 철 과다증 (Iron overload, 예: 혈색소증(Hemochromatosis))
유전적 질환으로 몸이 철을 과다 흡수하여 저장
철이 과다 축적되면서 트랜스페린이 거의 포화됨
- 만성 질환에 의한 빈혈 (Anemia of chronic disease)
염증성 질환(류마티스 관절염, 감염, 암 등)으로 인해 트랜스페린 생산 감소
철은 체내에 있지만 사용할 수 없어 UIBC도 낮음
- 간경화 (Cirrhosis)
트랜스페린 합성이 감소하면서 UIBC도 감소
- 용혈성 빈형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내부 철이 유리됨 -> 혈중 철 농도 증가 -> UIBC 감소
- 영양 과다 (철보충제 과다 섭취)
철분 보충제 또는 수혈로 인해 혈중 철이 과다해지면서 트랜스페린 포화 -> UIBC 감소
마지막으로 UIBC 수치를 정상화 하기 위한 예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5. 불포화철결합능 이상 예방 방법
UIBC 수치의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 대사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균형 잡힌 식사
- 철분이 풍부한 음식(붉은 고기, 생선, 콩류, 시금치 등)과 비타민 C가 풍부한 음식(오렌지, 피망 등)을 함께 섭취하여 철 흡수를 촉진합니다.
- 과도한 철 섭취를 피하기 위해 철분 보충제는 필요할 때만 복용합니다.
(2) 정기적인 건강 검진
- 혈액 검사(철, 페리틴, TIBC 등)를 통해 체내 철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빈혈 또는 철 과부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3) 철 결핍 또는 과다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 관리
- 만성 출혈(위궤양, 생리 과다 출혈 등)의 원인을 치료합니다.
- 간 및 신장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적절한 운동을 병행합니다.
(4) 약물 및 보충제 복용 주의
- 철분 보충제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합니다.
- 특정 약물(예: 제산제, 항생제, 갑상선 호르몬제)이 철 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복용 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 불포화철결합능(UIBC) 수치는 철 대사의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생활 습관과 정기적인 건강 관리로 철 대사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금까지 불포화철결합능 (UIBC) 수치와 이상수치에 대한 질병, 원인, 예방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TIBC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TIBC 수치 관련 포스팅을 진행했습니다.
[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
철결합능 TIBC 수치 높으면 낮으면 의미
철결합능(TIBC)는 혈액 속에서 철분을 운반하는 단백질인 트랜스페린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TIBC 수치는 체내 철분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지금부터 TIBC
worldwidehonest.co.kr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페인 대체 음식, 커피 대신 마실 수 있는 차 (1) | 2025.04.17 |
---|---|
카페인이 많은 음식과 카페인이 없는 차 (1) | 2025.04.16 |
카페별 카페인 함량, 순위와 카페인 함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 2025.04.14 |
청소년 커피 먹어도 되나요 (청소년 카페인 권장량) (1) | 2025.04.09 |
빈혈에 안 좋은 음식, 알고 피해야 합니다 (1) | 2025.04.07 |